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인천시립박물관, 일제 강제노역의 '방공호' 조사

기사승인 2019.08.13  15:28:15

공유
default_news_ad2

- 방공호는 일제의 침탈과 강제 노역의 증거
지역 내 방공호 기초 조사 진행

1 / 3

[인천게릴라뉴스=권오현 기자] 일제 강점기의 강제 노역의 증거인 방공호가 인천 중구 송학동과 신흥동 등에 산재해 있는 사실이 인천시 시립박물관의 조사로 밝혀지고 있다.

시립박물관은 이와 같은 사실에 대해 점검을 위해 지난 5일, 7일 두 차례에 걸쳐 중구 일대 일제강점기 방공호 현장을 탐문 조사했다.

이번 조사와 연계된 근·현대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는 시립박물관의 연속 사업이다.

이번 조사는 인천 곳곳에 존재하고 있는 방공호 시설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 조사다.

인천 지역에는 일제강점기에 설치된 방공호의 수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실체와 위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정식으로 조사된 적이 없다.

간간이 주민들의 입으로 소재 파악 등이 전해져 왔으며 관리 주체도 불분명한 상태다.

최근 시립박물관은 중구 송학동 자유공원(응봉산) 공영주차장, 자유공원 석정루 절벽 아래, 송학동 인천광역시역사자료관 내, 신흥동 긴담모퉁이길 등 10여개소의 방공호 위치를 확인했다.

이번에는 이들 반공호 가운데 내부 진입이 가능한 자유공원 공영주차장과 석정루 절벽 아래 그리고 인천광역시역사자료관 관내 등 방공호 3개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송학동(자유공원) 방공호

송학동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뒤편 공영주차장 내 방공호의 규모는 높이와 폭이 각각 약 2m이고 현재 도달할 수 있는 길이는 10m에 달했다.

그 이상의 내부는 시멘트로 막아 놓아 진입할 수 없었으며 현재는 공원 관리를 위한 장비 창고로 활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석정루 아래쪽 절벽에 위치한 방공호는 초입 부분은 시멘트로 천정과 벽체를 마감한 상태로 높이 약 1.5m, 폭이 약 1.2m다.

절벽 안쪽으로 방공호가 이어지나 정확한 규모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이곳에 자리한 카페의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중구청 뒤쪽에 위치한 인천시역사자료관에는 2개의 방공호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곳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사업가 코노 다케노스케(河野竹之助)의 저택으로 알려져 있다.

2개의 방공호는 경내에 있었으나 이중 1곳은 입구가 폐쇄된 상태다.

개방된 방공호는 정문에서 정원 돌계단을 올라가는 길에 있는 축대 아래에 ㄷ자 형태의 작은 석실형으로 남아있다.

신흥동 방공호

신흥동의 긴담모퉁이길 석축 아래에 방공호가 있다.

이 곳은 1908년 신흥동과 경동 싸리재를 연결하는 신작로를 내면서 쌓은 석축으로 일명 ‘긴담모퉁이길’로 불린다.

주변에는 옛 인천부윤관사를 비롯해 일본인 관료들과 사업가들의 주택이 몰려있었다.

방공호는 긴담모퉁이길 석축 아래에 있는데 이는 일본인 관료들과 사업가들의 위한 방공호로 추정된다.

방공호 입구는 아치형으로 입구 주위는 콘크리트로 보강되어 있으며 현재 철문으로 닫혀 있다.

이 방공호는 언덕 너머 1884년 개교한 일본인 학교인 아사히 소학교(현 신흥초등학교)와 길게 연결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신흥초등학교 쪽의 방공호 입구의 존재는 현재 아파트 건립과 우거진 잡풀 등으로 확인할 수 없다.

학교 관계자는 “오래전 본관 신축 건설 때 교무실 아래로 방공호가 연결돼 있는 통로를 발견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방공호와 일제의 강제노역

제국주의시대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고 영구 점령하기 위해 한반도 각지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건설했다.

일제는 1937년 ‘방공법’을 제정해 공습대피시설 건설을 법제화하고 도심지, 군사기지 주변에 갱도를 뚫어 방공호로 활용했다.

방공호는 1940년대 태평양전쟁 말기 연합군과의 결전을 위해 준비하고자 수많은 갱도를 뚫어 최후 방어 진지로 계획한 것으로 보인다.

인천 곳곳에서 발견되는 방공호 시설 역시 이 당시에 건설된 것으로, 일제거 조선인을 강제 동원해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방공호는 제국주의시대 일본의 침탈과 강제 노역의 증거이다.

현재 인천 지역 내 방공호 중 일반 주택 내에 있는 방공호는 도심지 재개발로 현황 파악 등 조사되지 않은 채 입구의 함몰 또는 통째로 매몰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시립박물관이 실태 조사를 한 반공호는 일제의 침략, 학살, 수탈 등 어두운 역사 뒤에 숨겨진 ‘네거티브 문화재’이다.

징용 산업시설, 적산 주택 등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방공호에 대한 발굴 조사는 전무하다시피한 것이 현실이다.

유동현 인천시립박물관장은 “흔적들을 지워버리면 증거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방공호는 아픔을 기억하고 후세에 교훈적 가치를 전해야 하는 ‘기억유산’으로서, 네거티브 문화재를 지역 유산으로 보호하고 보존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권오현 기자 ingnews@ingnews.kr

<저작권자 © 인천게릴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nd_ad5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nd_ad3

최신기사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